728x90
반응형
- 제목
이진 검색 트리
- 조건
시간 제한 : 1 초
메모리 제한 : 256 MB
- 문제
이진 검색 트리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조건을 만족하는 이진 트리이다.
- 노드의 왼쪽 서브트리에 있는 모든 노드의 키는 노드의 키보다 작다.
- 노드의 오른쪽 서브트리에 있는 모든 노드의 키는 노드의 키보다 크다.
- 왼쪽, 오른쪽 서브트리도 이진 검색 트리이다.
전위 순회 (루트-왼쪽-오른쪽)은 루트를 방문하고, 왼쪽 서브트리, 오른쪽 서브 트리를 순서대로 방문하면서 노드의 키를 출력한다. 후위 순회 (왼쪽-오른쪽-루트)는 왼쪽 서브트리, 오른쪽 서브트리, 루트 노드 순서대로 키를 출력한다. 예를 들어, 위의 이진 검색 트리의 전위 순회 결과는 50 30 24 5 28 45 98 52 60 이고, 후위 순회 결과는 5 28 24 45 30 60 52 98 50 이다.
이진 검색 트리를 전위 순회한 결과가 주어졌을 때, 이 트리를 후위 순회한 결과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.
- 입력
트리를 전위 순회한 결과가 주어진다. 노드에 들어있는 키의 값은 106보다 작은 양의 정수이다. 모든 값은 한 줄에 하나씩 주어지며, 노드의 수는 10,000개 이하이다. 같은 키를 가지는 노드는 없다.
- 출력
입력으로 주어진 이진 검색 트리를 후위 순회한 결과를 한 줄에 하나씩 출력한다.
예제 입력1 | 예제 출력1 |
50 30 24 5 28 45 98 52 60 |
5 28 24 45 30 60 52 98 50 |
#include <iostream>
#include <algorithm>
using namespace std;
#define endl '\n'
class node {
public:
int value;
node* left = NULL;
node* right = NULL;
};
class binary_tree {
public:
node* head = NULL;
void insertion(int val) {
node* tmp = new node;
tmp->value = val;
if (this->head == NULL) {
this->head = tmp;
return;
}
else {
node* ptr = this->head;
while (true) {
if (ptr->value < val) {
if (ptr->right == NULL) {
ptr->right = tmp;
return;
}
ptr = ptr->right;
}
else { // ptr->value > val
if (ptr->left == NULL) {
ptr->left = tmp;
return;
}
ptr = ptr->left;
}
}
}
}
};
void postorder(node* ptr) {
if (ptr->left != NULL) postorder(ptr->left);
if (ptr->right != NULL) postorder(ptr->right);
cout << ptr->value << endl;
}
int main() {
ios::sync_with_stdio(false);
cin.tie(NULL);
cout.tie(NULL);
int val;
binary_tree bt;
while (cin >> val){
bt.insertion(val);
}
postorder(bt.head);
return 0;
}
728x90
반응형
'Problem Solving > BaekJoon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BOJ/백준] 1261 - 알고스팟 (0) | 2022.08.17 |
---|---|
[BOJ/백준] 1236 - 성 지키기 (0) | 2022.08.17 |
[BOJ/백준] 25426 - 일차함수들 (0) | 2022.08.16 |
[BOJ/백준] 25425 - 운동회 (0) | 2022.08.16 |
[BOJ/백준] 1041 - 주사위 (0) | 2022.08.15 |